학회소개
사업 및 행사소식
학술지
회원마당
MOU체결
관련사이트
<예시>
(둘 이상의 논문이 같은 성을 가진 저자 : 외국인의 경우 같은 성의 저자에 의해 같은 년도에 게재된 것이면 혼란을 막기 위해 성과 그의 이름의 첫 글자(initial)를 써준다. 한국인은 이름의 전부를 써준다.)
1. 단행본
김현오(2001). 연기기록에 대한 연구. 서울: 한국출판사.
김태원(2013). 한국 공연예술의 흐름: 고대에서 현재까지. 서울: 현대미학사.
Linklater. W. (1962). Freeing the natural voice. Colin Smith(Tr.)(1991). London: Routledge & Kegan Paul.
Ness, C. A. (1988). Reflection on labanotation. Wolz, C.(Ed.). Labanotation reader, 21-34. New York: Arts Media.
Van Zile, J., and C. Wolz(Eds.). (2000). World history of movement notation. Honolulu: Manoa University Press.
Youngermann, S.,(2000). Movement notations. London: Cambridge University Press.
2. 논 문
김현오(2001). 한국 연기 기록의 역사. 연기예술연구, 1, 31-50.
김종육(2001). 영국의 연기법 발달과정. 제5회 대한연기학회 학술세미나 논문집, 23-30.
이회칠(1998). 연기의 방법을 찾아서. 서울: 마당 출판.
______(1999). 매체,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. 한국연기예술학회 세미나 발표논문, 1-12.
이회칠, 김현오(2000). 80년대 한국 영화의 장르 추세 연구. 연기예술연구, 2(2), 23-40.
이희소(2001). 춘앵전에 나타난 연극적 요소 분석. 한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.
______(2002). 공연예술 분석에서의 LMA. 한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.
Youngermann, S..(1999). Actor on acting. Dance Notation Scholars, 3(2), 45-50.
3. 웹사이트, 신문, 잡지 등
통계청(2001). 2001년도 통계년보. 서울: 통계청.
『김효순의 모노드라마』(공연 프로그램). 2001. 7. 23, 서울: 아르코 대극장.
『노동신문』, 2001. 9. 15.
『예술저널』. 순간의 미학, 2001. 8. 15, 23-26.
Kim’s Company(1997). Korean Court Acts. Seoul: Media Collection (VHS, 1 Hour, Color).
『New York Times』. 2001. 10. 15.